목록전체 글 (111)
헬창 개발자

사람은 평생에 걸쳐 다양한 감정을 느끼며 살아 갑니다. 감정은 심리학 분야에서는 오랜 연구 대상이였으며 최근 컴퓨터 분야에 이런 감정의 변화를 인식하려는 연구가 진행중 입니다. 컴퓨터 분야의 기존 감정 인식 연구는 인간의 감정 상태를 통상적인 6가지 감정으로 분류하며, 이는 인위적인 것으로 정확한 감정의 상태를 표현하기에는 많이 부족 합니다. 최근 감정을 연속선에서 인식하기 위한 시도가 등장했으며 위 그림과 같이 감정을 다차원에서 연속적인 백터로 표현한 모델이 등장하였습니다. 어떤 감정의 성분이 어느 정도 내포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V.A.D 차원에 감정영역을 설정하여 차원에 감정을 맵핑 합니다. Valence는 감정의 양수 또는 음수 정도를 나타내며 행복은 양수 감정이고, 슬픔은 음수 감정이다..

미세먼지는 대기 중 장기간 떠다니는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지름 10㎛ 이하의 먼지를 지칭한다. 미세먼지 줄이기 위해서는 도시 숲을 만들어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도시 숲이란 도시에서 국민의 보건 및 휴양 증진을 위한 산림 및 수목을 말한다. 이런 도시 숲은 열섬현상과 완화와 미세먼지 감소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있다. 하지만 이런 도시 숲을 최적의 위치에 조성하기 위해서는 미세먼지의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상관관계를 분석해야 하며 도시 숲이 조성되었을 때 미세먼지 증감률을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특정 지역의 미세먼지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시를 대상으로 정했다. 데이터 수집은 서울시 열린 데이터광장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데이터의 전처리를 위해 필요한 컬럼을 서울시 행정구에..
pip install pystan pip install plotly pip install prophet (에러시) conda install -c conda-forge conda conda install -c conda-forge prophet pip install --upgrade plotly 이후 from prophet import Prophet 선언

도커란? 도커 : 컨테이너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 플랫폼, 즉 독립된 환경을 만들어서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가상화와 컨테이너 도커의 분할된 가상 머신들은 각각 독립적인 환경으로 구동됩니다. 이 때 베이스가 되는 기존의 환경을 Host OS, 그리고 가상 머신으로 분할된 각각의 환경을 Guest OS라고 부릅니다. 가상화 : 물리적 자원인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하드웨어 공간위에 가상의 머신을 만드는 기술 컨테이너 : 컨테이너가 실행되고 있는 호스트 os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프로세스를 격리해 독립된 환경을 만드는 기술 가상 머신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하이퍼바이저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합니다. 하이퍼바이저는 호스트 하드웨어에 설치되어 호스트와 게스트를 나누는 역할을 하고,..

passport란? 내부적으로 쿠키와 세션을 사용해서 Node.js에서 인증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미들웨어이다. passport는 strategy(전략)라는 인증 전략을 사용하는데, 하나의 플로그인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여기서 strategy라고 하는 것은 어떤 것을 이용해, 어떻게 인증을 구현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을 말한다. 예를 들어 passport-facebook이라는 전략을 사용한다고 하면 사용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페이스북 아이디와 연동해서 인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외도 OpenID, Heroku, HTTP Bearer를 사용해서 인증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서비스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면 되는데 보통의 웹 서비스는 주로 local에서 구현하는 passport-local, ..

HTTP와 AJAX HTTP는 URL과 Header같은 부가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정확히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HTTP 통신은 클라이언트 요청 한번에 응답 한 번을 보내고 통신을 끝내게 된다. 따라서 페이지의 일부분만 갱신하고 싶어도 응답을 다시 보내야 한다. 따라서 페이지의 일부분만 갱신하고 싶어도 응답을 다시 보내야 한다. 그래서 이러한 제약으로부터 조금 더 진화한 AJAX라는 것이 등장했다. AJAX는 ‘Asynchonous JavaScript XML’의 약자로 XMLHttpRequest라는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이용해 서버와 비동기 방식으로 통신하여 DOM을 조작해 문서의 일부분만 갱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HTTP 대신 AJAX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메일 중복 ..

MongoDB 무작위로 크롤링을 한 데이터라던가 세션, 로그 데이터 등의 비정형 데이터는 데이터가 어떤 형태로 들어올지 모르므로 어느 정도 융통성 있게 테이블을 짜 놓는게 좋다. 특히 빅데이터 같은 경우에는 양이나 형태가 가늠되지 않으니, 이 상태에서 데이터를 분산처리하고, 또 그에 맞게 스키마를 작성하는 것은 매우 비효울적이다. 이럴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MongoDB이며 NoSQL 중 가장 인기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MongoDB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Schema-Free(Schema-less)이다. Schema가 없다. 같은 Collection 안에 있을지라도 다른 Schema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솔루션 자체의 분산 처리, 샤딩, 데이터 리밸런싱, 복제, 복구를 지원한다. 대용량,..